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가주·민주 ‘총기 은닉휴대’ 규제 나서

캘리포니아주 민주당이 최근 연쇄 총기난사 비극을 계기로 총기소지 제한 강화에 나섰다. 개빈 뉴섬 주지사도 총기규제를 희망해 입법 여부가 주목된다.   1일 LA타임스는 가주 민주당이 공공장소 ‘총기 은닉 휴대 법안(concealed-carry gun law)’ 개정을 다시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비슷한 개정안은 지난해 가을 가주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우선 민주당 측은 몬테레이 파크·북가주 하프문 베이 총기난사 등으로 18명 이상이 목숨을 잃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소속인 뉴섬 지사도 총기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꾸준히 내고 있다.   민주당 측은 공공장소에서 장전된 총기를 은닉한 채 휴대하고 다니는 행위를 제한하고자 한다. 특히 지난해 6월 연방 대법원이 ‘뉴욕주 소총·권총협회 대 브루엔’ 사건에서 권총을 은닉 휴대할 수 있는 허가를 받으려면 ‘정당한 사유’와 ‘선한 품성’을 증명해야 한다는 100년 이상 된 뉴욕주 법률이 총기 소유 권리를 규정한 수정헌법 2조에 위배된다고 판단한 뒤 민주당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신문은 뉴섬 지사와 민주당 지도부가 대법원의 위헌결정을 존중하되, 관련법을 총기규제 강화 쪽으로 개정하려 한다고 전했다.     현재 가주에서 총기 은닉 휴대 면허를 받기 위해서는 총기 소유자가 ‘합당한 사유(good cause to obtain)’를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신청자는 지방 경찰국 또는 셰리프국의 총기 은닉 휴대면허도 받아야 한다.     지난해 12월 5일 가주 의회에 발의된 새 개정안(SB 2)은 총기 은닉 휴대 자격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뉴섬 지사가 지지 의사를 밝힌 개정안은 신청자 나이를 21세 이상으로 규정했다. 총기 관련 주의사항 숙지 및 교육도 현행 16시간에서 더 확대했다. 또한 신청자가 법무부 등에 총기소지 기록을 의무적으로 등록하도록 했다. 가주 정부 차원에서 지방 경찰국 또는 셰리프국의 관련 면허를 통합 관리하는 프로그램도 만들도록 했다.   또한 개정안은 ‘정부기관 건물, 학교, 의료시설, 대중교통, 종교시설, 공원, 술집(bar), 운동장’에서 총기소지를 금지했다.   개정안을 발의한 가주 상원 앤서니 포르탄티노(민주, 25지구) 의원은 “우리의 목표는 가주 주민이 안전하게 하는 것”이라며 “가주민도 (총기규제 강화를 위해) 행동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총기소지를 찬성하는 이들은 ‘자기방어(self-defense)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며 개정안을 반대하고 있다.     가주 하원 공화당 리더인 제임스 갤러거(3지구) 의원은 “은닉 총기를 휴대하는 사람을 문제 삼아서는 안 된다. 범죄 자체가 문제”라며 “뉴섬 지사는 합법적으로 은닉 총기를 휴대하는 이들 대신 갱단이나 폭력범을 단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가주는 타주보다 강력한 총기규제를 시행 중이다. 가정폭력 전과자, 본인 또는 타인에게 위험을 줄 수 있는 사람은 총기소지를 할 수 없다. 대용량 탄창, 소음기, 공격용 무기 등도 금지한다. 일반인이 총기를 소지하려면 관련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민주당 지사 총기 소유자 총기규제 강화 총기 은닉

2023-02-01

[김상진 기자의 포토 르포] 사람보다 총이 많은 나라

LA경찰국이 최근 ‘건 바이백(gun buyback)’ 프로그램을 통해 수거한 수백 정의 총기류다. 총기 소유자는 일정 금액을 받고 총을 내놓는다. 지난 2009년 프로그램이 시행된 후 지금까지 무려 2만여 정이 수거됐다. 총기가 야기하는 잠재적 피해, 자기방어를 위한 권리가 동시에 드럼통 안에 쌓여간다.     총은 보호와 살상의 양면을 가진 물체다. 쓰이기 나름이다. 용도는 누가 쥐는지에 따라 달라질 뿐이다. 어떤 용도건 간에 총기 판매는 폭증하고 있다.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되며 사회불안이 커졌던 2020년 미국에서 사상 최다 수준인 2300만 정의 총기가 팔렸고, 2021년에도 미국 총기업체들이 비슷한 규모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미국 시민들이 소지한 총기의 수가 3억9300만 정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2022년 기준 미국 인구인 3억3300만 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사람 수보다 많은 총 때문에 연초부터 연쇄 참극이 벌어졌다. 지난주 몬터레이파크와 하프문베이에서 연달아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으로 18명의 무고한 시민이 목숨을 잃었다.   총기 소지를 제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물체를 소유하고 사용하는 주체는 인간이다. 인간의 선악은 총이 가진 양면성과 맞물린다. 총기 소유와 규제 사이에서 일어나는 논쟁은 그래서 첨예하다. 김상진 사진부장 kim.sangjin@koreadaily.com김상진 기자의 포토 르포 나라 총기 소유자 총기 소지 총기 판매

2023-01-27

[커뮤니티 액션] 사람보다 총이 더 많은 나라

지난 5월 14일 버펄로에서 백인우월주의자의 총질로 10명이 숨진 뒤 열흘만인 24일 텍사스주 유밸디 초등학교에서 이번엔 고등학생의 총격으로 아이들 19명을 비롯해 21명이 목숨을 잃었다.   정말 언제까지 이런 끔찍한 일들을 보고만 있을 건지 어이가 없다. 하지만 이번에도 총기 판매업자들의 굳건한 동지인 공화당 상원의원 50명이 치고 있는 울타리 탓에 연방의회의 총기 규제 강화법 통과는 이뤄질 수 없는 ‘꿈’으로 보인다.   이미 2년 전 연방하원은 총기 구매자에게 이른바 ‘유니버설 백그라운드 체크’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상원에서는 표결도 하지 못했다. 이민자인 우리는 영주권, 시민권 신청을 할 때 모두가 유니버설 백그라운드 체크를 거쳤다. 이 때문에 이민 수속이 지체되는 불편도 겪었다. 그런데 총을 사는 사람들에게는 절대 그런 불편을 주면 안 된다는 것이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이다. 많은 주에서 총기 구매는 선거에서 투표를 하는 것보다 훨씬 더 시간이 덜 걸리고 쉽다.   ‘97%’란 이름의 총기 규제 강화를 주장하는 단체가 있다. 여론조사를 하면 미국민의 97%가 백그라운드 체크 강화를 지지한다. 그래서 붙인 이름이다. ‘97%’의 매튜리트맨 사무국장은 최근 방송 인터뷰에서 “심지어 총기 소유자의 84%가 유니버설 백그라운드 체크를 지지하는데 도대체 국민 전체의 3%, 총기 소유자의 16%가 반대하기 때문에 법 제정을 못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미 연방의회가 얼마나 국민의 뜻을 거스르고 총기 판매업자들의 정치 자금과 영향력에 휘둘리고 있는지 보여준다.   연방정부가 손 놓고 있는 동안 공화당 주정부들은 오히려 총기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20여 개 주에서 총기 휴대를 더 쉽게 만드는 주법을 제정했다.   현재 미국에는 4억정의 총이 있다. 아이들까지 다 따져서 미국 인구가 3억2950만 명이다. 인구 100명당 총 120.5정이 있다. 지난 2011년에는 88정이었는데 급격히 늘었다. 2020년에는 4만5000여 명이 총기로 목숨을 잃었다. 하루에 120여 명이 죽었다.   규제 강화를 반대하는 쪽은 “총을 탓하지 마라. 살인은 사람이 한다”고 주장한다. 그 말이 맞다고 치면 자동차사고도 사람이 일으키니까 안전벨트 의무화는 필요 없다. 술이 사고를 내는 게 아니라 사람 탓이니까 음주운전 단속도 하면 안 된다. 마약도 사람이 하는 것이니까 마약 밀매업자 단속도 하면 안 된다. 규제 강화로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것을 예방하자는 데, 총을 더 많이 사서 자신을 보호하라고 한다. 심지어 학교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총을 갖고 출근하라고 한다. 어이가 하늘을 찌른다.     총으로 자살하는 사람이 해마다 2만 명에 이른다. 하루에 50여 명이 자신을 보호하기는커녕 총구를 자신에게 겨누고 방아쇠를 당긴다. 미국에선 자살을 포함한 살인 사건의 79%가 총으로 벌어진다. 총으로 자신이나 주변 사람을 보호하는 사례는 정말 적다.   이렇게 대책 없이 총질에 사람들이 쓰러지고 있는 동안 총기 제조 회사들의 수익은 2019~2021년 모두 기록적으로 늘었고 두 배 가까이 더 번 곳도 있다. 자신들을 보호해주는 정치인들과 함께 피로 물든 달러를 차곡차곡 쌓아가고 있다. 김갑송 / 민권센터 국장커뮤니티 액션 나라 총기 규제 총기 판매업자들 총기 소유자

2022-06-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